구분 | 특징 |
---|---|
위조학술지 (Hijacked Journals) | 유명학술지와 유사한 학술지 이름을 사용하여 저자에게 혼동을 주는 학술지 |
약탈적 학술지 (Predatory Journals) | 돈만 지불하면 무조건 게재해주고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|
대량발행학술지 | SCI나 Scopus 등에 등재되어 있으면서 학술지 한 호를 발행할때마다 대량으로 발행하여 출판 윤리를 어기는 학술지 |
특징 | 상세설명 |
---|---|
동료심사 | 동료심사가 없거나 형식적임. |
마케팅 | 이메일/홈페이지/영향력지수 등 공격적 마케팅 |
운영정보 | 편집부/심사자의 불투명한 정보 |
학술지 학문 범위 | 다양한 학문 분야 |
비용처리 | 이메일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음. |
이메일을 보면, 'your precious paper ~'와 같이 아첨하는 표현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전형적인 의심 학술지의 마케팅 전략임.
의심추정학술지 초청이메일 | 의심추정학술지의 영향력지수 선전 |
---|---|
![]() |
![]() |
일반학술지의 논문 공모는 개인보다는 전체적인 논문 주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.
- 일반학술지의 영향력 정보는 Journal Citation Reports(JCR)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가능함.
일반학술지의 논문 공모 | 일반학술지의 영향력 지수 정보 |
---|---|
![]() |
![]() |
운영진의 소속과 연락처가 부정확하거나 의심학술단체가 성행하는 국가(인도, 동유럽, 파키스탄, 중동지역 등)이며, 존재하지 않는 주소지인 경우가 존재
의심 학술지의 편집자 정보 | 의심 학술지의 연락처정보 |
---|---|
![]() |
![]() |
일반학술지는 운영진의 소속과 연락처가 명확하며, 실제로 존재 하는 주소임.
일반학술지의 편집자 정보 | 일반학술지의 연락처정보 |
---|---|
![]() |
![]() |
당신이 선택한 학술지가 신뢰할만한 학술지인지 확인하시려면, 다음의 리스트를 참고하십시오.
체크리스트의 대부분 혹은 모든 질문에 '예'라고 답했다면, 당신의 논문을 해당 학술지에 제출하셔도 됩니다.